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유가귀감(儒家龜鑑) > 공자(孔子)가 말씀하시기를 "하늘이 어찌 말씀하시겠느냐?,, 하시였고 동중서(董仲舒)는 "도의 큰 근원이 하늘에서 난 것,, 이라 하였으며, 채침(蔡沈)은 "하늘이란 것은 엄숙히 그 마음에서부터 난 것이라,, 하였으니 이것은 주무숙(周茂叔)이 모두가 힘이 없는 무극(無極))으로서 크고 가득찬 태극(太極)이라 한 것과 같은 것이다. "서전(書傳),,의 서문에 "하나를 정미롭게 하고 중용(中庸)을 잡은것은 요임금과 순임금이 서로 전한 마음의 법(심법 = 心法)이고, 중용을 세우고 태극을 세운 것은 은나라 탕임금과 주나라 무왕이 서로 전한 마음의 법,, 이라 하였다. 덕(德)이라 하고, 인(仁)이라 하고, 경(經)이라 하고, 성(誠)이라 하는 말은 서로 다르지만 이치는 모두 마음의 묘한 것을 밝힌 것이다. 마음의 덕(심덕 = 心德)이 그와 같이 성(誠)한 것은 슬픈 일이다. > "중용(中庸),,에서 말한 성(性), 도(道), 교(敎) 이 세 마디가 서로 이름은 다르지만 내용은 같아서 체(體)와 용(用)을 갖추었으니, 이것은 공자(孔子)와 맹자(孟子)의 마음의 법을 받아 전한 것이다. 도(道)는 성품으로 부터 나오는 것이니, 도(道)를 말하고 성(性)을 말하지 않으면 사람은 도의 본원을 알지 못할 것이며, 도(道)는 교(敎)로부터 나온 것이니, 도(道)를 말하고 교(敎)를 말하지 않으면 사람의 도의 공들인 보람을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도(道)라는 한 글자가 성품과 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니, 그 본원을 추궁해 보면 반드시 천명(天命)으로 돌아갈 것이니, "대학(大學),,에서 말한 삼강 오륜 팔조목(三綱五倫八條目)이 또한 이에 포함되는 것이다. "주역(周易),,에서 먼저 도를 말하고 뒤에 성품을 말했으니 이것은 도가 한 태극을 거느려 체를 삼은 것이고, 자사(子思)는 먼저 성품을 말하고 도를 말했으니, 이것은 도가 각자 한 태극을 갖춘 것이다. 세상에서 도를 높이 말하는 사람들은 거칠고 허탄한 말로 돌려보내고 낮게 본 자는 형상과 기운에 걸릴 뿐, 말한 자는 성품을 따음을 말하는 것이다. 경계하여서 함은 천히(天理)를 보존하여 지키는 것이니 조화의 미묘한 힘이 아직 움직이지 않은 공경이고, 홀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삼감은 사람의 마음을 점검하여 고찰한 것이니 이것은 조화의 미묘한 힘이 이미 움직임 뒤의 공경이다. 그러므로 군자의 마음은 항상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생각을 갖는다. 홀로 삼가하는 마음은 기률(천기 = 天機)이 이미 발할 때의 공부이고,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은 기틀이 아직 발하지 않을 때의 공부이다. "중용(中用),,의 중(中)은, 곧 천지(天地) 만물(萬物)과 한 몸이 된다. 깊고 어두우면 그곳에 귀신(鬼神)이 있고, 밝으면 일월(日月)이 있으니 이것 또한 홀로 삼가한다는 글귀이다. 마음의 진리(眞理)로 향하여 기르는 것은 고요한 공부이니 한 주장의 익숙함을 주로 하는 것이고, 자기 마음을 반성하여 살핌은 움직이는 때의 공부이니, 감정에서 생기는 생각이 발하면 곧 깨달아 다스리는 것을 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미롭게 살피고 하나를 지키라 하였으니 이것은 하늘의 밝은 명(명명 = 明命)을 도(道)라 보는 것이다. 한번 마음을 놓으면 마음대로 흩어져 돌아갈 곳이 없으니 마음을 반드시 잡고 뜻을 반드시 참되게 하며, 말을 반드시 삼가하고 행동할 때는 반드시 삼가할 것이니 이것은 몸과 마음을 함께 닦는 길이다. (계속)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08.27
ddddd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