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옵션
HTML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2. 열반(涅槃)의 덕(德) > 그러므로 부처님의 열반(涅槃)은 자연 이승(二乘)들의 열반(涅槃)과 같이 한 쪽으로 치우친 무위공적(無爲空寂)한 것이 될 수는 없으니 이 대반열반 (大般涅槃)엔 삼덕(三德) 사덕(四德) 팔미(八味) 등이 갖추어져 있다고 한다. > (1) 삼덕(三德) > 삼덕(三德)이란 애탄품(哀歎品)에 삼점이라는 것이 있다. 이 삼점은 가로나 세로로 또는 떨어져 있어도 안되고 반드시 삼점이 삼각형으로 되어 있어야 된다고 말씀하신 다음 <나도 그와 같아 해탈법(解脫法)도 열반(涅槃)이 아니고 여래(如來)의 몸도 열반(涅槃)이 아니고 마하반야(摩訶般若)도 열반(涅槃)이 아니며 세가지 법(法)이 각기 달라도 열반(涅槃)이 아니니 나는 지금 이러한 세가지 법(法)에 있으면서 중생(衆生)을 의지하여 열반(涅槃)에 든다 하는 것도 이 삼점과 같은 것이니라.> 한 것이 그것이다. 여기서 해탈(解脫) 법신(法身) 반야(般若)는 곧 영원(永遠)한 존재(存在)인 이 세 가지 특성을 말한 것이니 해탈은(解脫)은 생사(生死)의 초월(超越)을 말함이요, 반야(般若)는 생사(生死)를 떠나는 지혜(智慧)를 말함이겠고, 법신(法身)은 곧 영워(永遠)한 진리(眞理)를 몸으로 체득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하겠다. 다시 말하면 진리(眞理)와 지혜(智慧)와 초월(超越)의 이 세 가지가 영원(永遠)한 존재(存在)의 특성이 된다는 것이니 이들은 하나이면서 셋이며 셋이면서 하나로서 동시에 같이 있다는 것이다. 실로 생사(生死)를 다스리는 지혜(智慧)가 있는 곳엔 생사(生死)에 얽매임이 있을 수 없고. 생사(生死)의 얽매임이 없는 곳에 법신(法身)이 없을 수 없으리니 이것은 바로 선후(先後)가 없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 (2)사덕(四德) > 열반(涅槃)에는 이 삼덕(三德) 말고 또 사덕(四德)이 있다고 하니 사덕(四德)은 앞에서도 누차 나온 바 있는 상(常) 락(樂) 아(我) 정(淨)이다. 그럼 그 뜻은 무엇일까. 애탄품(哀歎品)엔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다. <상(常)이란 곧 법신(法身)이란 뜻이고, 락(樂)이란 열반(涅槃)이란 뜻이며, 아(我)란 곧 불(佛)이란 뜻이요, 정(淨)이란 것은 법(法)이란 뜻이다.> 다시 말하면 > (1)열반(涅槃)의 경지는 생멸(生滅)의 변천함이 없고(상 = 常) (2)생사(生死)의 고통을 떠났으면(락 = 樂) (3)이와 일여(一如)가 된 몸은 망집(妄執)을 떠난 진리(眞理) 그대로이고 모든 법(法)에 자재(自在)한 참된 나(아 = 我) (4)번뇌(煩惱)의 더러움을 ,여의었으면(정 = 淨)이라는 것이다. 동(同) 품(品)에도 이것을 또 다음과 같이 보충 설명하고 있다. <(1)무아(無我)라는 것은 생사(生死)요, 아(我)는 여래(如來)이며 (2)무상(無相)하다는 것은 성문(聲聞) 연각(緣覺)이요, 항상(恒常)하다는 것은 여래(如來)의 법신(法身)이며 (3)고(苦)라는 것은 외도(外道)들이요, 락(樂)이란 것은 열반(涅槃)이며 (4)부정(不淨)하다는 것은 유위법(有爲法)이요 정(淨)하다는 것은 부처님과 보살(菩살)들이 갖는 정법(正法)이다.> 그러므로 앞의 열반(涅槃)과 대반열반(大般涅槃)의 비교에서도 알 수 있었지만 상. 락. 아. 정(常. 樂. 我. 淨)의 사덕(四德)을 갖춘 열반(涅槃)은 이승(二乘)의 열반(涅槃)과는 다른 것으로 이제 이것을 통해 종합하여 그 의의를 알아보면 상주불변(常住不変)하고 복락(福樂)이 넘치며 청정무구(淸淨無垢)한 참다운 존재(存在)가 곧 영원(永遠)의 세계인 열반(涅槃)이라 하는 것이라 하겠다. 상(常), 락(樂), 아(我), 정(淨)이란 곧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 부정(不淨)이란 부정(否定)을 통해 미혹(迷惑)이나 망집(妄執) 등으로 부터 나온 상(常), 락(樂), 아(我), 정(淨)을 깨트리고 앞의 부정적 허무적 견해 또한 깨트린 중도(中道)로서 그러한 미혹(迷惑)이나 망집(妄執)등을 완전히 떠난 여실(如實)한 지혜(智慧)에서의 대긍정(大肯定)으로 상(常), 락(樂), 아(我), 정(淨)으로서의 참다운 세계(世界) 참다운 존재(存在)를 살린 것이다. 따라서 흔히 소승열반(小乘涅槃)과 대승열반(大乘涅槃)의 구분을 이 사덕(四德)의 유무(有無)로서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상담신청하기
상담신청
메일문의하기
문의하기
CS Center
000.0000.0000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