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3. 왕생설(往生說) : 법장 비구(法藏比丘)의 본원(本願)인 사십팔원(四十八願)중에 사십삼원(四十三願)이 섭중생원(攝衆生願)이고 이 가운데는 <나의 불토(佛土)에 태어나는 이는 . . . . . 하고 단서를 단 것이 많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제십팔원(第十八願)은 <어떤 중생(衆生)이던지 지극한 마음으로 내 불국토(佛國土)를 믿고 좋아하여 와서 태어나고자 하는 이는 내 이름을 열번만 불러도 왕생(往生) 하게 될 것> 이라는 십념왕생원(十念往生願)이요 제십구원(第十九願)은 <보리심(菩提心)을 내어 여러가지 공덕을 닦고 지극한 마음으로 원을 세워 내 불국토(佛國土)에 태어나려는 중생은 그들이 임종할 때 내가 대중과 함께 가서 그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임종현전원(臨終現前願)이기에 극락정토(極樂淨土)에의 왕생(往生) 사상(思想)은 고래(古來)로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여겨져 왔고 지금도 누구나가 다 그 곳에 왕생(往生) 하기를 원(願)하고 있다. 그런데 극락(極樂)의 이러한 본원(本願)에 의해 이룩된 것인 만큼 경(經) 도처에 이 곳에의 왕생(往生)에 대해 설해저 있으니 <사리불(舍利弗)이여, 극락세계(極樂世界)에 태어나는 중생(衆生)들은 다 보리심(菩提心)에서 물러나지 않는 이들이며 그 중엔 일생보처(一生補處)의 지위에 오른 이들이 한량없이 많다. 이 말을 들은 중생(衆生)들은 마땅히 서원(誓願)을 세워 그 국토(國土)에 태어나길 원(願)해야 할 것이니 거기에 가면 그와 같이 으뜸가는 사람들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그마한 선근(善根)이나 공덕(功德)으로는 그 곳에 태어 날수 없느니라.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善女人)이 아미타불(阿彌陀佛)에 대한 말을 듣고 하루나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일랫동안 일심불난(一心不亂)하게 아미타불(阿彌陀佛)의 명호(名號)을 외우면 그가 임종할 때에 아미타불(阿彌陀佛)이 여러 성중(聖衆)과 함께 그 사람 앞에 나타날 것이니 목숨을 마칠때엔 생각이 뒤바끼지 않고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극락국토(極樂國土)에 태어날길 원해야 할 것이다.> (아미타경 = 阿彌陀經) > 오역죄(五逆罪)와 십악업(十惡業)과 온갖 나쁜 짓을 저질러 지옥(地獄)에 떨어져 오랜 고통을 받을 체하(最下)의 하품하생자(下品下者)도 . . . . 임종시(臨終時)에 지성으로 간절하게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을 열번만 불러도 이 공덕(功德)으로 한 번 부를 때 마다 팔십억겁(八十億劫)의 생사중죄(生死重罪)가 소멸되며 임종시(臨終時)에 해바퀴 같은 황금(黃金) 연꽃이 그 앞에 나타나 순식간에 극락세계(極樂世界)에 왕생(往生)하게 된다. (관무량수경 = 觀無量壽經)등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항상 죄를 짓고 사는 중생(衆生)에겐 차방정토설(此方淨土說) 보다 이 극락왕생(極樂淨土)의 타방정토설(他方淨土說)이 더 친근한 것은 어쩔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차방정토(此方淨土)를 구하던 타방정토(他方淨土)를 구하던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뻔한 것이다. 즉 그것은 부처님의 말씀대로 부처님이 행(行)한 것, 도(道)를 따라서 배우고 닦아 실천수행하는 것이다. 우리의 몸이 불도(佛道)를 실천하고 임이 불법(佛法)을 믿고 우리의 마음이 불심(佛心)으로 돌아갈 때엔 정토(淨土)는 바로 그 곳에 있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무슨 걱정을 하리요. 그리고 법장(法藏) 비구(比丘)가 사십팔원(四十八願)을 성취(成就)하여 극락정토(極樂淨土)를 세웠다면 우리는 또한 그와 같은 원(願)을 세워 그와 같이 수행(修行)하고 성취(成就)하여 또 하나 극락정토(極樂淨土)를 세울 원(願)을 가질 수는 없을까? 불자(佛子)로서의 사명을 다시금 되새겨 보자. 그리고 이에 하나 더 덧 붙인다면 무량수경(無量壽經)엔 <아난(阿難)아, 중배자(中輩者)란 그 불국토(佛國土)에 태어나고자 하는 사람이 출가(出家)하여 선근공덕(善根功德)을 닦지 못하더라도 위 없는 보리심(菩提心)을 내어 일심(一心)으로 무량수불(無量壽佛)을 생각하고 착한 일도 하며 재계(齋戒)도 지키며 탑(塔)과 불상(佛像)을 조성(造成)하고 사문(沙門)에게 공경(恭敬)하며 향화(香華)를 올리며 이 공덕(功德)을 회향(廻向)하여 저 국토(國土)에 태어나길 원(願)하는 이들이다.> 하여 불탑(佛塔)숭배가 아니라 불상(佛像) 숭배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상(佛像)의 출현(出現)이 서력기원 후의 일이니 적어도 이 극락정토(極樂淨土) 경전(經典)의 성립(成立)은 그 후가되지 않을까 보고 있다. (2세기 중반 으로 주장) 따라서 정토계(淨土系) 경전(經典) 중예서 내용의 구체화로 보나 붕상(佛像) 숭배의 사상(思想)으로 보나 이 극락정토(極樂淨土)를 설(說)한 경전(經典)이 비교적 늦게 결집된 것으로 여겨진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08.27
ddddd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