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옵션
HTML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2. 정토(淨土) 구현(具顯)의 방법(方法) > 그러면 이러한 정토는 어떻게 구현(具顯)하는 것인가.이것에 대해선 동(同) 품(品)에 <직심(直心)이 보살(菩薩)의 정토(淨土)이니 보살(菩薩)이 성불(成佛)할 때 아첨하지 않는 중생(衆生)이 그 나라에 와서 나며, 심심(深心)이 보살(菩薩)의 정토(淨土)이니 보살(菩薩)이 성불(成佛)할 때 공덕(功德)이 구족(具足)한 중생(衆生)이 그 나라에 태어나며 보리심(菩提心)이 보살(菩薩)의 정토(淨土)이니 보살(菩薩)이 성불(成佛)할 때 대승(大乘) 중생(衆生)이 그 나라에 와서 나며 . . . . . 등 이라고 설(說)해져 보살(菩薩)은 직심(直心 = 곧은 마음) 심심(深心 = 깊은 마음) 보리심(菩提心 = 보리(菩提)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져 굽은 마음을 가진 예토(穢土)의 중생(衆生)에겐 먼저 직심(直心)으로 그 마음을 곧게 하고, 엷은 마음으로 선행공덕(善行功德)을 안 쌓으면 심심(深心)으로 그 마음을 깊게 하고 무명(無明)에 덮혀 지혜(智慧)의 깨달음을 얻지 못하면 보살(菩薩)은 보리심(菩提心)으로 그 중생(衆生)의 무명(無明)을 굴려 지혜(智慧)의 깨달음을 얻게 하여야 하니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육바라밀(六波羅蜜)과 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과 십선(十善) 등의 온갖 선행(善行)을 닦게 되면 그 곳이 곧 정토(淨土)가 된다는 것이다. 실로 악법(惡法)을 행하면 예토(穢土)가 아닌 곳이 없고 지혜(智慧)를 가져 선법(善法)을 행(行)하면 정토(淨土)가 아닌 곳이 없을지니 보살(菩薩)의 정토(淨土)란 곧 직심(直心), 심심(深心), 보리심(菩提心)을 가지고 선법(善法)으로써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하는 곳이 된다. 보살(菩薩)의 마음따라 중생(衆生)의 마음 또한 깨끗해져 다 같이 선법(善法)을 행하면 어찌 정토(淨土)가 아니리요. 그러므로 동(同) 품(品)에서는 또 이렇게 쓰여 있다. <만약 보살(菩薩)이 정토(淨土)를 얻고자 하면 그 마음을 깨끗이 하라. 그 깨끗한 마음에 따라서 곧 불토(佛土)가 깨끗해지기 때문이다.> 중생(衆生)은 누구나 다 정토(淨土)를 구하길 원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정토(淨土)를 구하려 해도 마음이 깨끗하지 못하면 정토(淨土)란 구해지질 않는다. 하지만 마음 그 자체가 정토(淨土)이면 정토(淨土) 아닌 곳이 없을지니 정토(淨土)란 마음을 정(淨)하게 하는데 따라 나타나는 것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상담신청하기
상담신청
메일문의하기
문의하기
CS Center
000.0000.0000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