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보살승(菩薩乘) > 소승(小乘)에선 보살(菩薩)이 불(佛)이 되는데는 사계성도(四階成道)가 있다고 한다. 사계성도(四階成道)란 > 1. 제일계(第一階) : 三阿僧祗劫)동안 수많은 부처님 밑에서 6바라밀(六波羅蜜)을 닦는 것. > 2. 제이계(第二階) : 100대겁(大劫)동안 32상(三十二相) 80종호(八十種好)등의 상호(相好)를 초감(招感)할 복덕행(福德行)을 닦는것. > 3.제삼계(第三階) : 보살(菩薩)의 최후신(最後身)으로 왕궁(王宮)에 강생(降生)하는것. > 4. 제사계(第四階) : 전삼계(前三階)에선 하나의 번뇌(煩惱)도 끊지 않고 있다가 보리수(菩提樹) 아래에서 삼십사심(三十四心)으로 번뇌(煩惱)를 끊고 성불(成佛)하는것. <삼십사심 단결성도(三十四心 斷結成道)이다. 여기서 삼십사심 단결성도(三十四心 斷結成道)라는 것은 보살(菩薩)은 제삼계(第三階)까지는 번뇌(煩惱)를 끊지 않고 있다가 보리수(菩提樹) 아래에서 비로소 강렬한 무루지(無漏智)를 발휘하여서 팔인팔지(八忍八智)의 십육심(十六心)으로써 삼계(三界)의 견혹(見惑)을 끊고 다음 무색계(無色界)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의 구품(九品) 수혹(修惑)을 구무간도(九無間道) 구해탈도(九解脫道)의 십팔심(十八心)으로 끊어 총 삼십육심(三十六心)으로 성불(成佛)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이하 욕계(欲界)까지의 수혹(修惑)은 이미 유루도(有漏道)인 육행관(六行觀)으로 끊어 다시 끊을 필요가 없다고 하니 육행관(六行觀)이란 추(麁), 고(苦), 장(障)의 삼관(三觀)과 정(靜), 묘(妙), 이(離)의 삼관(三觀)을 말하는 것으로 이생범부(異生凡夫)가 이것을 써서 단혹(斷惑)하기 때문에 세간(世間)의 도(道) 또는 세속도(世俗道)라고 하는데 이것을 쓰는 방법은 이렇다. 즉 자기가 처해 있는 그 지(地) 및 그 하지(下地)에 대해선 이 곳은 거칠고 추한(麁) 곳, 고통스러운 (苦) 곳, 장애스러운(障) 곳이라 관(觀)하고 다음엔 상지(上地)에 대해서 상지(上地)는 적정한(靜) 곳, 묘하고, 즐거운 (妙) 곳, 더러움을 떠난 (離) 곳이라고 관(觀)하여 차츰 상계(上界)로 올라가면서 그 하지(下地)의 번뇌(煩惱)를 끊어간다. 그러나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는 상지(上地)에 대한 묘락(妙樂)이 있을 수 없으므로 이곳의 번뇌(煩惱)는 못 끊는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최후까지 번뇌(煩惱)를 끊지 않는 이유는 보살(菩薩)은 원래 중생(衆生)을 이익(利益)되게 하는 것이 그 뜻이므로 중생(衆生)을 제도하기 위하여선 먼저 삼계(三界)에 태어나야 하며 또 태어나기 위하여선 태어날 수 있는 업(業)의 연(緣)이 번뇌(煩惱)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이런 필요에 의해 알부러 번뇌(煩惱)를 끊지 않고 있다가 최후 성불(成佛)할 때라야 그를 꾾는다고 한다. 따라서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의 삼승(三乘)으로 볼 땐 보살(菩薩)은 이타(利他)를 자리(自利)로 한다고 하였으니 제일 이근(利根)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리고 여기에서 말하는 보살(菩薩)이란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 멀하는 일반적인 개념의 보살(菩薩)이 아니라 앞에서도 알아본 바와 같이 어느 특정한 보살을 지칭하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성자(聖者)가 되면 그는 해탈(解脫)의 과덕(果德)으로서 삼명(三明) 육신통(六神通) 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08.27
ddddd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