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이에서 사제십육찰라(四諦十六刹那)를 성제현관(聖諦現觀)이라 하는 이유는 무루지(無漏智)로써 바로 사성제(四聖諦)를 평등히 각지(覺知)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상하 팔제(上下 八諦)엔 각기 혹(惑 = 번뇌(煩惱)의 증멸(增滅)이 있으니 그 이유에 대해선 > 1. 신견(身見)과 변견(邊見)이 고제하(苦諦下)에만 있는 이유는 신견(身見)은 원래 삼계(三界)의 고과(苦果)인 오온화합(五蘊和合)의 가신(假身)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요 또 변견(邊見)은 이 신견(身見)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이요. > 2.계금취견(戒禁取見)이 고제(苦諦)와 도제(道諦)의 이제하(二諦下)에만 있는 이유는 계금취견(戒禁取見)에는 모든 바른 인(因)이 아닌 것을 바른 인(因)이라고 고집하는 비인계인(非因計因)과 모든 바른 도(道)가 아닌 것을 바른 도(道)라고 고집하는 비도계도(非道計道)의 두 가지가 있는 바 비인계인(非因計因)중에 대범천(大梵天) 등을 우주(宇宙) 만물(萬物)의 영원(永遠)하고도 유일한 근본 원리인 실체로 오인하여 이것을 망령되게 집착하거나 또는 소(우 = 牛)같은 것을 위하는 것이 하늘에 나는 인(因)이라고 망집(妄執)하는 것 등은 모두 고과(苦果)에 미혹(迷惑)되어 일어나는 것이므로 고제하(苦諦下)에 들며 비도 계도(非道 計道)중에 유루(有漏)의 오계(五戒) 십선계(十善戒) 등을 무루(無漏) 해탈(解脫)의 도(道)라고 집착하는 것 등은 고과(苦果)에 미혹(迷惑)하는 것이므로 이런 것도 고제하(苦諦下)에 들어가며 그 바른 도(道)가 아닌것을 가지고 열반(涅槃)의 도(道)라고 고집하는 것은 도제(道諦)에 들기 때문이라고 하며 > 3. 상이계(上二界)에 진(瞋)이 없는 것은 이 세계(世界)는 그 과보(果報)가 즐겁고 자유스런 생활을 하게 되는 곳이므로 진(瞋)을 일으킬 기회가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음 각(各) 제하(諦下)에 혹(惑)이 있게 되는 이유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그 과정을 고제(苦諦)를 예로 들어 알아보면, 먼저 무명(無明 = 치(痴)이 사제(四諦)의 이치 즉 고제(苦諦) 내지 도제(道諦)의 이치를 관(觀)하여 완전히 알지 못함에 여기에서 정말로 고(苦)인가 아닌가 하는 의(疑)가 생기고 그리하여 이런 의(疑)를 가진 끝에 어떤 결정을 내리면 이것이 곧 사견(邪見)이 되고 이 사견(邪見)은 곧 오온가합(五蘊假合)이란 몸의 이치를 알지 못하고 이것이 신견(身見)을 이끌어 와 상주(常住)니 단멸(斷滅)이니 하는 일방적인 변견(邊見)을 낳게 되고 이 변견(邊見)은 곧 이렇다 또는 이래야 한다 하는 계금취견(戒禁取見)을 낳게 되며 이런 계금취견(戒禁取見)은 다시 그것이 옳다고 하여 견취견(見取見)을 내게 된다. 이렇게 하여 스스로의 견해에 깊은 애착을 갖게 되니 이것이 <탐(貪)> 을 낳게 되는 것이며 이것으로 인해 스스로 자만심이 생기게 되니 이것이 <만(慢)>이며 이것으로 인해 남의 견해가 자기의 것과 다를 때에는 곧 그에 대해 참지 못하고 성을 내게 되니 이것이 <진(瞋)>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순서는 꼭 정해진 것은 아니며 그 중에는 어느 것을 초월(超越)하여 생기기도 하며 그저 대체로 이와 같은 순서로 생긴다고 할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위의 팔십팔혹(八十八惑)은 모두 사제하(四諦下)에서 생기는 것으로 사제(四諦)의 이치를 완전히 알면 다 끊을 수 있는 것이므로 견도(見道)에서 끊어저 버리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탐(貪), 진(瞋), 치(痴), 만(慢)이 비록 수혹(修惑)이긴 하나 견도하(見道下)의 그것들은 사제(四諦)에 어두어 일어나는 것이므로 이것은 견혹(見惑)이라 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이 사제하(四諦下)의 모든 번뇌(煩惱)를 끊어 버리는 견도십오찰라간(見道十五刹那間)을 예유향(豫流向)이라고 한다. 예유(預流)는 입류(入流)라고도 하니 무루도(無漏道)를 처음 보아 처음으로 성류 (聖流)에 참가하였다는 뜻이다. 이 예류성자(豫流聖者) 이상은 다 향(向)과 과(果)가 있는데 향(向)은 다 처음으로 그 지위(地位)에 들어왔다는 뜻이요. 과(果)는 그 지위(地位)를 마쳤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사제십육찰나(四諦十六刹那)의 마지막이요. 수도(修道)의 처음엔 제십육심(第十六心)인 예류과(豫流果 = 수다원과(須陀洹果)가 되는 것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08.27
ddddd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