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아라하관(阿羅漢觀) > 아라한(阿羅漢)은 응공(應供) 불생(不生) 이악(離惡) 등으로 번역(飜譯)되는 열반(涅槃)을 증득한 성자(聖者)를 가르키는 말이다. 원시 불고(原始佛敎)에 있어서는 아직 이 아라한(阿羅漢)이란 말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解釋)은 없었다. 하지만 우리는 위의 열반관(涅槃觀)에서도 나온 다음과 같은 문구는 원시경전(原始經典) 도처에 보이는 아라한(阿羅漢)의 경지를 나타낸 말이므로 이에 따라 어느 정도 그 정의를 내릴 수도 있을 것 같다. <나의 생(生)은 이미 끝나고 범행(梵行)이 이미 섰고 할 일을 다 마치어 후유(後有)를 받지 않는다.> 이것으로 본다면 아라한은 즉 > 1. 아생이진(我生已盡) : 범부로서의 생(生)은 이미 끝나고. > 2. 범행이입(梵行已立) : 온갖 애욕(愛欲)을 끊은 청정(淸淨)한 이욕행(離欲行)이 이미 확립되어 있고 > 3. 소작이변(所作已辨) : 이제는 더 이상 닦을 것이 없게 되었으며. > 4. 불수후유(不受後有) : 다시는 뒷 세상의 생사(生死)를 받아 윤회(輪廻)하는 일이 없는 자(者) 라는 결론을 얻게 된다, 즉 모든 번뇌(煩惱)가 없는 것을 열반(涅槃)이라 한다면 이것은 곧 열반(涅槃)을 증득하여 마음에 하나도 경동(傾動)이 없고 후유(後有)를 받지 않는 성자(聖者)를 말하는 것이 된다. 그런데 후세(後世) 대승불교(大乘佛敎)에 오면서 이 아라한(阿羅漢)은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의 이승(二乘)의 성과(聖果)라고 하여 불타(佛陀)와 엄격히 구별하여 말하지만 초기에는 그런 구별이란 없었던것 같다. 그것은 부처님께서 > 1.<나는 세간의 아라한(阿羅漢 = 응공(應供)이다. 나는 무상사(無上師) 이다. 나는 유일한 정각자(正覺者)이다. 나는 적정(寂靜)하여 열반(涅槃)이다.> (남전율장(南傳律藏) > 2. 처음으로 녹야원(鹿野苑)에서 교진여(驕陳如) 등 다섯 비구(比丘)가 모두 아라한(阿羅漢)이 되었을 때 이 세상에는 부처님 자신을 포함하여 여섯 아라한(阿羅漢)이 있다고 하시고 기뻐하셨으며 그 후 야사(耶査)가 아라한(阿羅漢)이 되었을 때는 일곱 아라한(阿羅漢)이 되었다고 하시고 그 후 계속하여 11. 61.아라(阿羅漢)이 되었다고 기뻐하셨다. (잡아함경(雜阿含經) 권(卷)14) > 3. 여래(如來), 응공(應供), 정변지(正遍知), 명행족(明行足), 선서(善逝), 세간해(世間解), 무상사(無上士), 조어장부(調御丈夫), 천인사(天人師), 불(佛), 세존(世尊)의 여래십호(如來十號)에도 즉 아라한(阿羅漢)의 역어(譯語)인 응공(應供)이란 말이 여래(如來) 불(佛) 세존(世尊)등과 더불어 같이 쓰이고 있다. 는 것들로 미루어 보아도 능히 추지(推知)할 수 있다. 물론 경전(經典)에는 불타(佛陀)와 아라한(阿羅漢)의 구별이 전혀 안 쓰여있는 것은 아니다. 즉 상응부경(上應部經) 3에는 그 차별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모든 비구(比丘)여, 여래(如來) 응공(應供) 정등각(正等覺)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도(道)를 일어나게 하고 아직 설(說)하지 않는 도(道)를 설(說)하고 도(道)를 알고 도(道)를 깨닫고 도(道)를 깨우친다. 모든 비구(比丘)여 이제 모든 제자는 도(道)에 따르고 순종하여 성취(成就)한다. 여기에서 비구(比丘)가 해탈(解脫)하면 그것은 이미 아라한(阿羅漢)이요 또 이에 해당하는 경(經)인 잡아함경(雜阿含經) 권(卷) 3권에는 비구(比丘)가 아니라 아라한(阿羅漢)으로 나오니 위의 말은 여래(如來)와 아라한(阿羅漢)의 차이로 보아도 좋을 것이며 그 차이란 것은 결국 불타(佛陀)는 도(道)르 스스로 깨닫고 그의 제자 아라한(阿羅漢)은 그러한 불타(佛陀)의 도(道)에 의하여 깨닫는다는 것이다.(계속)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08.27
ddddd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