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12처설(十二處說) > 위의 오온설(五蘊說)이 우리의 심법(心法)에 중점을 둔 만법(萬法)의 분류법임에 대하여 이 12처설(十二處說)은 색법(色法)에 중점을 둔 분류법이다. 이것도 또한 우리 인생을 주로 한 면에서는 오온설(五蘊說)과 동일하다. 이 12처(十二處)는 12입(十二入)이라고도 하는데 처(處)라는 것은 심왕법(心王法)과 심소유법(心所有法)의 모든 심적 활동을 생장(生長)시키는 문(門)이라는 뜻이다. 이 12처(十二處)라 하는 것은 육근(六根)과 모든 객관세계(客觀世界)를 육근(六根)에 대경(対境)이 되는 것에 따라 분류한 육경(六境)을 합하여 말하는 것이다. 우리의 심적활동을 일으키는 우리 인생(人生)의 만법(萬法)은 실로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러나 그것을 크게 나누어 분류한다면 > 1. 인생쪽으로 보아 주관적(主觀的)인 요소는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의 육근(六根)을 벗어날 수가 없고. > 2. 인생이 아닌 쪽으로 보아 객관적(客觀的)인 요소는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의 육경(六境)을 벗어날 수가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 모든 심적 활동은 안(眼)이 색(色)을 대하고, 이(耳)가 성(聲)을 대하며, 비(鼻)가 향(香)을 대하고, 설(舌)이 미(味)를대하며, 신(身)이 촉(觸)을 대하고 , 의(意)가 법(法)을 대할 때에야 비로소 일어나는 것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 말한다면 우리는 안(眼)이 색(色)을 대하고 이(耳)가 성(聲)을 대하고 내지 의(意)가 법(法)을 대하며 활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이 하나 하나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자. > 1.육근(六根) > 안(眼)이라 함은 외계(外界)의 현상을 능히 취하여 내계(內界)의 마음을 발동(發動)시키고 증장(增長) 시킬 작용과 능력이 있다는 뜻에서 일컫는 말이다. > ㄱ.안근(眼根) : 눈, ㄴ.이근(耳根) : 귀, ㄷ.비근(鼻根) : 코, ㄹ.설근(舌根 : 혀, ㅁ. 신근(身根) : 몸, ㅂ. 의근(意根) : 뜻, 우리의 마음을 전념(前念) 후념(後念)에 나누고 전념(前念)은 후념(後念)에 일어날 모든 심적 현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근거가 되므로 전념(前念)의 육식(六識)을 말한다. > 2. 육경( 六境) > 경(境)이라 함은 대상 경계가 된다는 뜻에서 일컫는 말이다. > ㄱ.색(色) : 눈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인 객관계(客觀界)의 모든 현상. > ㄴ. 성(聲) : 귀로 들을 수 있는 모든 소리. > ㄷ. 향(香) : 코로 맡을 수 있는 모든 냄새 > ㄹ. 미(味) : 혀로 맛볼 수 있는 모든 맛. > ㅁ. 촉(觸) : 몸으로 접촉하는 대상 즉 굳은 것, 더운것 축축한 것등 > ㅂ. 법(法) : 제육식(第六識)이 대상으로 하는 모든 심적 현상과 세력적인 존재와 무위법(無爲法). > 이상의 설명으로 우리는 이 12처설(十二處說)은 오온설(五蘊說)과 는 달리 일체만유(一切萬有)를 주관(主觀)과 객관(客觀)으로 나누어 물질적인 색법(色法)을 위주로 한 분류법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또 한가지 오온설(五蘊說)과 다른 사실은 12 (十二處)에는 무위법(無爲法)까지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육근(六根)중에서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의 전(前) 오근(五根)은 오직 현재의 대상 경계만을 취할 뿐이나 제육근(第六根) 즉 의근(意根)은 시간적으로 볼 때에는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의 삼세(三世)에 걸친 모든 것과 공간적(空間的)으로는 인연(因緣)화합이 아닌 무위법(無爲法)까지도 그 대상경계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12처(十二處)의 분류법은 비록 무위법(無爲法)까지도 포함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결국은 색법을 위주로한 우주(宇宙) 인생(人生)의 현상계 만유에 대한 분류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육근(六根)과 육경(六境)과의 관계를 합쳐서 12처(十二處)라고 한다. > > > ※어제는 초 하루라서 일찔 법문 가느라 급하게 보내면서 한문 택자를 불교 용어로 탁자로 곳쳐 논는 다는 것이 두번 보내게 되었네요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08.27
ddddd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