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54 > 단번뇌자 명이승 > 斷煩惱者를 名二乘이요 > > 번뇌불생 명대열반 > 煩惱不生을 名大涅槃이니라 > > ※번뇌(煩惱)를 끊는다는 생각으로 수행(修行)하는 이를 성문(聲聞) 연각(緣覺) 이승(二乘)이라 하거니와 그러나 (애초에)번뇌를 일으키지않아 끊을 번뇌가 없는 것을 대열반이라 한다. > > ※ 해의(解義) ※ > 번뇌를 끊어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분별심이라 본성을 거역하는것(逆性)이 되나 애초에 번뇌를 내지 않으면 본성을 따르는 것(順性)이다. 번뇌는 크게 보아 2가지가 있으니 망(妄)을 고집하여 이견(異見)을 내는 것은 이사(利使)라 하고 망(妄)을 인정하여 진(眞)으로 여기는 것을 둔사(鈍使)라고 한다. > > 55 > 체관살도음망 종일심상기 > 諦觀殺盜淫妄이 從一心上起라 > > 당처변적 하수변단 > 當處便寂하면 何須更斷이리요 > > ※죽이고 훔치고 음행하고 거짓말하는 것이 다 한마음위에서 일어나는 것임을 자세히 살펴보라. 그 일어나는 것이 비어 자취를 찾을 수 없는데 무엇을 다시 끊을 것인가? > > ※ 해의(解義) ※ > 이 말씀은 성(性)과 상(相)을 한꺼번에 밝힌 것이다. > > #56 > 불식기상 적즉능위 > 不識其相하면 賊卽能爲하고 > > 부달기공 영불가단 > 不達其空하면 永不可斷하리라 > > ※그 모양을 바로 알지 못하면 여섯도적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이 맘되로 날뛰게 되고 그것의 공함에 도달치 못하면 영원히 끊어 버리지 못할 것이다. > > ※ 해의(解義) ※ > 이 말씀은 위(上)의 선수후오(先修後悟)를 맺는 말이다. > > 57 > 경 운 각성 본정 무명 본공 > 經에 云 覺性이 本淨하고 無明이 本空하니 > > 오차리 불생일념 명위영단무명 > 悟此理하야 不生一念이 名爲永斷無明이라 하고 > > 우운 단단이무단 수수이무수 > 又云 斷斷而無斷하며 修修而無修라 하시니 > > 우운 념기즉각 > 又云 念起卽覺하라 하시니라 > > ※경에 이르시길 "깨달음의 성품이 본래 청정하고 무명이 본래 공적하나니, 이 이치를 알아 한생각도 내지 않음을 길이 무명을 끊었다고 한다,, 고 하시고 또 끊고 끊되 끊음이 없고 닦고 닦되 닦음이 없다,, 하시며 또 "생각이 일어나는 즉시 알아 차려야 한다,, 고 하였다. > > ※ 해의(解義) ※ > 이 귀절도 위의 선오후수(先悟後修)를 맺는 말이다. "끊되 끊음이 없고 닦고 닦되 닦음이 없다,, 말은 헤아려 분별할 자취가 없는 무상(無相), 무념(無念)의 종지(宗旨)를 들어낸 말씀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게시물이 없습니다.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