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옵션
HTML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21 > 대저학자 수참활구 막참사구 > 大抵學者는 須叅活句언정 莫叅死句어다. > > ※대저 배우는 사람은 모쪼록 활구를 참구해야지 사구를 참구 해서는 안된다. > > ※ 해의(解義) ※ > 활구(活句)는 선(禪)이며 사구(死句)는 교(敎)를 말한다. 여기서 부터 아래는 활구 공부법을 자세히 설명 할 것이다. > > 22 > 범본참공안상 절심주공부 여계포난 > 凡本叅公案上에 切心做工夫를 如鷄抱卵 하며 > > 여묘포서 여기사식 여갈사수 > 如猫捕鼠하며 如飢思食하며 如渴思水하며 > > 여아억모 필유투철지기 > 如兒憶母하며 必有透徹之期 하리라 > > ※무릇 자기가 참구하는 공안(公案)에 간절한 마음으로 공부(工夫)를 지어 가기를 마치 닭이 알을 품듯, 고양이가 쥐를 잡듯, 배고픈때 밥 생각하듯 목마를때 물 생각하듯, 아이가 엄마 그리듯 한다면 반드시 사무쳐 뚫을 기약이 있으리라. > > ※ 해의(解義) ※ > 공안(公案)은 조사(祖師)의 화두(話頭)를 말하며 본참공안(本叅公案)이란 천칠백칙의 화두가운데서 본인이 처음 받아 참구하는 화두를 말한다. 닭이 알을 품듯 하라는 것은 어미닭의 따뜻한 기운이 계속 끊임없이 이어저야 비로소 새생명을 이루는데 소중한 것이다. 그렇게 해서도 깨어 나올때 병아리의 신호(子啐一聲)에 어미의 쪼아줌(母啄)이 일치하지 않으면 그 알이 그만 썩어 버리고 마니 이것은 공부(工夫)가 시종(始終) 잠시도 끊어짐이 없어야 함을 비유한 것이다. 또한 고양이의 쥐와, 배고픔의 밥과, 목마름의 물과, 아기의 엄마 등 갖가지 비유가 다 곧 진실하고 간절한 마음을 나타낸 것이니 화두도 이런 간절한 마음이 없으면 마침내 이루어지질 못하는 것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상담신청하기
상담신청
메일문의하기
문의하기
CS Center
000.0000.0000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