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재
천도재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20 > 고 학자 선이여실언교 > 故로 學者는 先以如實言敎로 > > 위변불변수연이의 - 시자심지성상 > 委辨不變隨緣二義 - 是自心之性相이며 > > 돈오점수양문 시자행지시종연후 > 頓悟漸修兩門이 是自行之始終然後에 > > 방하교의 단장자심 현전일념 > 放下敎義하고 但將自心에 現前一念하여 > > 참상선지즉 필유소득 > 叅詳禪旨則 必有所得하리니 > > 소위출신활로 > 所謂出身活路니라 > > ※그러므로 배우는 이는 먼저 실다운 가르침을 의지해 "변치 않음,,과 "인연을 따르는 ,, 두 뜻이 곧 자심의 성품과 모양이며, 돈오와 점수의 두문이 곧 실제로 수행할 처음과 끝임을 자세히 납득하고 판단한 뒤에 "배우고 익힌,, 교의를 말끔히 놓아 버리고 다만 자기 마음의 현전한 일념으로 선(禪)의 자취를 자세히 참구한다면 반드시 얻는바가 있으리니 이른바 출신하여 살 길이다. > > ※ (해의(解義) ※ > 지금까지는 선(禪)과 교(敎)의 특징을 서로 비교하며 설명해 왔다. 이제 부터는 오로지 선(禪)을 결단하여 올바른 길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뛰어난 상근기(上根機)의 사람이라면 굳이 이러한 과정에 매이지 않아도 되겠지만 말법세상(末法世上)의 배우는사람(學者)은 법(法)의 눈(目)이 분명치 못해서 헤매기만 할 뿐, 정법(正法)을 가려 내기가 어렵다. 이것을 앞 성현(先聖)들께서 걱정하시어 자세히 분석해 보이는 것이니 학자(學者)들은 부디 정신차려 올바른 눈으로 다시금 잠심완미(潛心琓味)할 것이다. 교리(敎理)에 의지한 관법수행(觀法修行)은 모든 성인(聖人)들의 당연한 법칙이겠지만 아득한 벼랑에서 손을 놓아 버릴 수 있는(懸厓摋手) 용기는 하늘위로 솟아 오르고도 남을 대장부(大丈夫)의 기개를 가진 이(衛天丈夫)만이 가능할 것이다. 불변(不變)은 심진여(心眞如)요 수연(隨緣)은 심생멸(心生滅)이며 성(性)은 본체(本體)요 상(相)은 작용(作用)이다. 또 돈오(頓悟)는 불변(不變)이요 점수(漸修)는 수연(隨緣)이며 시(始)는 인(因)이요 종(終)은 과(果)를 말한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최근글
게시물이 없습니다.
새댓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