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사닷컴
홈으로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전체메뉴
메인
구경사
행사안내
산사의 향기
참여마당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0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구경사
구경사 소개
주지스님 인사말
공지사항
찾아오시는길
행사안내
법회안내
법회/의례안내
산사음악회
부처님오신날
백중법회
방생법회
생전예수제
공식법회
산사의 향기
법화종
사찰예절
참선수행법
불교용어문답
구경사의 사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천도의식
49제
천도제
기제사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포토
이모티콘
FA아이콘
내사진
옵션
HTML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序 > 古之學佛者는 非佛之言면 不言하고 非佛之行이면 不行也라 故로 所寶者가 惟貝葉靈文而已이러니 今之學佛者는 傳而誦則士大夫之句요 乞而持則士大夫之詩라 至於紅錄으로 色其紙하고 美錦으로 粧其粈하야 多多不足하야 以爲至寶하니 吁라 何古今學佛者之不同寶也여 余雖不肖나 有志於古之學하야 以貝葉靈文으로 爲寶也나 然이나 其文이 尙繁하고 藏海汪洋하야 後之同志者가 頗不免摘葉之勞故로 文中에 撮其要且切者數百語하야 書干一紙하니 可謂文簡而義周也라 如以此語로 以爲嚴師하야 而硏窮得妙則句句에 活釋迦存焉이라 勉乎哉인저 雖然이나 離文字一句와 格外奇寶는 非不用也나 且將以待別機也하노라 > 嘉 靖 甲 子 夏 > 淸虛堂 白華道人 序 > > ※ 서 문 = 한글번역만 > 옛날에 부처를 배우는 이들은 부처님의 말씀이 아니면 말하지 아니하고, 부처님의 행실이 아니면 행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므로 보배로 여기는 것은 오직 패엽의 거룩한 글뿐이었는데 지금의 부처 배우는 이들은 전하여 가며 외우는 것이 사대부의 글이요, 청하여 지니는 것이 사대부의 시(詩)뿐이다. 그것을 울긋불긋한 종이에 쓰고, 고운 비단으로 꾸며서 아무리 많아도 족한 줄을 알지 못하고 가장 큰 보배로 생각하니, 아 ~ ! 예와 지금의 부처 배우는 이들의 보배로 삼는 것이 어찌 이다지도 같지 않는가? 내가 비록 답지 못하나 옛글에 뜻을 두어 패엽의 거룩한 글로써 보배를 삼기는 하지마는, 그러나 그 글이 너무도 번거롭고 장경 바다가 하도 넓고 아득하므로, 뒷날 뜻을 같이 하는 이들이 가지를 헤쳐 가면서 잎을 따는 수고로움을 면치 못할까 하여, 글 가운데 가장 요긴하고도 절실한 것 수백 마디를 추려서 한 장에 쓰니 참으로 글은 간략하나 뜻은 두루 갖추어졌다고 할만 하다. 만일 이 글로써 스승을 삼아 끝까지 연구하여 묘한 이치를 깨닫게 된다면, 마디 마디에 산 석가여래가 나타나실 것이니 부디 힘써 볼 지어다. 그렇더라도 글자를 떠난 한 마디와 격에 벗어난 기묘한 보배를 쓰지 않으려는 것도 아니지만, 아직 특별한 기틀을 기다리고자 하노라 > 가정 갑자 여름 > 청허당 백화도인 씀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파일추가
파일삭제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형태로 글내용 입력시 지정 첨부사진이 출력됨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주변관광지
불교신문
포토갤러리
동영상자료
상담신청하기
상담신청
메일문의하기
문의하기
CS Center
000.0000.0000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